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일본에서 개최된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소속 국가들의 축구 대회이다. 남자부에서는 일본, 대한민국, 중국, 홍콩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일본이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부에서는 일본, 중국,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가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남자부 최우수 선수상은 소마 유키, 여자부 최우수 선수상은 시미즈 리사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 클럽 랭킹에 따라 참가 자격이 배정되었고,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알힐랄 SFC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22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는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 2022년 일본 - 아베 신조 피살 사건
2022년 7월 8일, 일본 전 총리 아베 신조가 참의원 선거 유세 중 총격으로 사망한 이 사건은 범인의 구 통일교에 대한 원한에서 비롯되어 일본 사회 내 통일교의 정치적 영향력 논란을 증폭시켰다. - 2022년 일본 -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2022년 7월 10일에 실시되었으며, 공직 선거법 개정으로 의석수가 늘고, 아베 신조 전 총리 암살 사건 등 여러 변수 속에서 자민당이 의석을 늘리고 개헌에 우호적인 정당들이 과반수를 확보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다른 이름 | EAFF E-1 サッカー選手権 2022 (EAFF E-1 축구 선수권 대회 2022) |
![]() | |
개최국 | 일본 |
개최 기간 | 2022년 7월 19일 – 2022년 7월 27일 |
참가 팀 수 | 4 |
하위 연맹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2 |
결과 | |
우승 | 일본 |
우승 횟수 | 2회 |
준우승 | 대한민국 |
3위 | 중국 |
4위 | 홍콩 |
총 경기 수 | 6 |
총 득점 | 16 |
총 관중 수 | 38,378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자 | 마치노 슈토(3골) 소마 유키(3골) |
최우수 선수 | 소마 유키 |
최우수 골키퍼 | 김동준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2019년 |
다음 대회 | 2025년 |
2. 참가국
FIFA 랭킹을 기준으로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소속 국가 중 상위 4개국이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당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도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남녀 대표팀 모두 불참하여 차순위 팀들이 출전하게 되었다.[6]
결승 대회 |
---|
2. 1. 남자부
(개최국), , , 팀이 참가했다.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3 | 2 | 1 | 0 | 9 | 0 | +9 | 7 | 우승 | |
2 | 3 | 2 | 0 | 1 | 6 | 3 | +3 | 6 | 준우승 | |
3 | 3 | 1 | 1 | 1 | 1 | 3 | -2 | 4 | 3위 | |
4 | 3 | 0 | 0 | 3 | 0 | 10 | -10 | 0 | 4위 |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 기준이다.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22년 7월 19일 | 19:20 | 6 - 0 |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4,980명 | ||
2022년 7월 20일 | 19:00 | 0 - 3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214명 | ||
2022년 7월 24일 | 16:00 | 3 - 0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4,435명 | ||
2022년 7월 24일 | 19:20 | 0 - 0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10,526명 | ||
2022년 7월 27일 | 16:00 | 0 - 1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4,220명 | ||
2022년 7월 27일 | 19:20 | 3 - 0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14,117명 |
2. 2. 여자부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16:00 | 2 - 1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2,200명 | |||
15:30 | 2 - 0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136명 | |||
15:30 | 4 - 1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1,051명 | |||
19:00 | 1 - 1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352명 | |||
16:00 | 4 - 0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347명 | |||
19:20 | 0 - 0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901명 |
- '''일본'''이 2회 연속이자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3. 남자부 경기 결과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 | 시간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22년 7월 19일 | 19:20 | 일본 | 6 - 0 | 홍콩 |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4,980명 |
2022년 7월 20일 | 19:00 | 중국 | 0 - 3 | 대한민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214명 |
2022년 7월 24일 | 16:00 | 대한민국 | 3 - 0 | 홍콩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4,335명 |
2022년 7월 24일 | 19:20 | 일본 | 0 - 0 | 중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10,526명 |
2022년 7월 27일 | 16:00 | 홍콩 | 0 - 1 | 중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4,220명 |
2022년 7월 27일 | 19:20 | 일본 | 3 - 0 | 대한민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14,117명 |
- 7월 20일, 대한민국은 주천걸의 자책골과 권창훈, 조규성의 득점으로 중국에 3-0 승리를 거두었다.
- 7월 24일, 대한민국은 강성진의 2골과 홍철의 1골로 홍콩에 3-0 승리를 거두었다.
- 7월 19일, 일본은 소마 유키와 마치노 슈토가 각각 2골, 니시무라 타쿠마가 2골을 기록하며 홍콩에 6-0 대승을 거두었다.
- 7월 24일, 일본과 중국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7월 27일, 중국은 탄룽의 결승골로 홍콩을 1-0으로 이겼다.
- 7월 27일, 일본은 소마 유키, 사사키 쇼, 마치노 슈토의 연속 득점으로 대한민국에 3-0 완승을 거두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3. 1. 최종 순위
일본이 4개 대회 만에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3. 2. 경기 일정 및 결과
모든 시간은 JST (UTC+9)를 따른다.날짜 | 시간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19:20 | 일본 | 6 - 0 | 홍콩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 4,980명 | 하산 아크라미 (이란) | |
19:00 | 중국 | 0 - 3 | 대한민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 200명 | 아크롤 리스쿨라예프 (우즈베키스탄) | |
16:00 | 대한민국 | 3 - 0 | 홍콩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 4,335명 | 나즈미 나사루딘 (말레이시아) | |
19:20 | 일본 | 0 - 0 | 중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 10,526명 | 니본 로베시 가미니 (스리랑카) | |
16:00 | 중국 | 1 - 0 | 홍콩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 4,220명 | 몽꼴짜이 뻬쯔스리 (태국) | |
19:20 | 일본 | 3 - 0 | 대한민국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 14,117명 | 아크롤 리스쿨라예프 (우즈베키스탄) |
4. 여자부 경기 결과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3 | 2 | 1 | 0 | 6 | 2 | +4 | 7 | 우승 | |
2 | 3 | 1 | 2 | 0 | 3 | 1 | +2 | 5 | 준우승 | |
3 | 3 | 1 | 1 | 1 | 6 | 3 | +3 | 4 | 3위 | |
4 | 3 | 0 | 0 | 3 | 1 | 10 | -9 | 0 | 4위 |
[1]
2022년 7월 26일에 모든 경기가 종료되었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승 1무 1패로 3위를 기록했다. 지소연은 일본과의 경기에서, 최유리는 중국과의 경기에서 각각 득점을 기록했다. 강채림, 이민아, 고민정은 대만과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1]
4. 1. 경기 일정 및 결과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9)을 기준으로 한다.경기일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22년 7월 19일 | 16:00 | 2 - 1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2,200명 | ||
2022년 7월 20일 | 15:30 | 2 - 0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시 | 136명 | ||
2022년 7월 23일 | 15:30 | 4 - 1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1,051명 | ||
2022년 7월 23일 | 19:00 | 1 - 1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352명 | ||
2022년 7월 26일 | 16:00 | 4 - 0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347명 | ||
2022년 7월 26일 | 19:20 | 0 - 0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시 | 901명 |
5. 수상
수상 부문 | 남자부 | 여자부 |
---|---|---|
최우수 선수(MVP) | 소마 유키 | 시미즈 리사|시미즈 리사일본어 |
득점왕 | 마치노 슈토, 소마 유키[1] (공동 수상) | 없음 |
최우수 골키퍼 | 김동준 | 야마시타 아야카|야마시타 아야카일본어 |
최우수 수비수 | 타니구치 쇼고 | 왕린린|왕린린중국어 |
최우수 심판 | 리즈쿨라예프 아크롤 | 제스위츠 캐서린 마가렛|제스위츠 캐서린 마가렛영어 |